![](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ruXfv%2FbtsIkkBJUH8%2FrDekBU1yDEsX2nMxlICP41%2Fimg.png)
[Git] 로컬저장소 생성해서 원격저장소에 올리기
천둥상어
·2024. 7. 2. 12:01
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ruXfv/btsIkkBJUH8/rDekBU1yDEsX2nMxlICP41/img.png)
프로젝트를 생성한 폴더에서 Git 저장소를 만들고
원격저장소 GitHub에 올리는 순서를 설명한다.
명령어는 VSC의 파워쉘에서 진행했다.
git init 저장소 생성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소를 생성한다.
git init
![](https://blog.kakaocdn.net/dn/sJXYQ/btsIiR1h8De/oM45xlY2drKSkyKIOQB6Ik/img.png)
git status 로 저장소 상태를 확인한다.
저장소 상태를 보면 커밋할 파일이 없으며
파일을 생성하거나 복사하면 'git add'로 관리 상태로 만들수 있다고 알려준다.
git status
![](https://blog.kakaocdn.net/dn/lapaQ/btsIjLzspNG/TeLSAdoWmHO6kqUcN1KLA1/img.png)
이번에는 main.js 파일을 생성하고 git status로 저장소 상태를 확인한다.
이전과는 다르게 관리중인 파일(main.js)이 있다고 나온다.
![](https://blog.kakaocdn.net/dn/bYvQVO/btsIlakyPcu/8eO8aleRl8n1SpLHHDoBK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SOLQF/btsIkEGjGdz/GtA0VBRkwQ55CGyjzYJlzK/img.png)
git add main.js
추가되거나 수정된 파일을 스테이징 한다.
git add main.js
![](https://blog.kakaocdn.net/dn/R8jPy/btsIkqBpEXz/4PJMqh6Cz4fep4f1Apu8kk/img.png)
git commit 하기
git commit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vim 편집창이다.
git은 기본 텍스트 편집기로 vim 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커밋 메세지를 입력해주면 된다.
- i 키를 눌러서 편집 모드
- 커밋 메세지 작성 (ex : "Add main.js")
- ESC키 눌러서 편집 모드 종료
- :wq 입력후 엔터로 저장&종료
![](https://blog.kakaocdn.net/dn/boBSjf/btsIkruchL7/K13po5UbTDXjtwM0AtBpdk/img.png)
git commit -m "Add main.js"
이렇게 -m 옵션으로 커밋 메세지를 작성해서 커밋하면 편집기를 거치지 않고 커밋 할수 있다.
git log 로 커밋 이력을 확인
main.js가 커밋된 이력을 볼수 있다.
git log
![](https://blog.kakaocdn.net/dn/qtEVF/btsIkfz6QfS/Md79ClNzkZRCWSQpwGKLk1/img.png)
GitHub에서 원격저장소를 생성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2bWNO/btsIicEStUD/9Fg0mGB7MxGEBZfTvtLmR0/img.png)
로컬저장소에 원격저장소를 등록한다.
주소는 GitHub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A2CYR/btsIjLTLZoB/2SDJpiOMQYFnR0ervkjLk1/img.png)
git remote add origin https://주소
현재 브랜치 이름을 'main'으로 변경한다.
기존의 main 브랜치가 존재한다면 덮어쓰고 새로운 main 브랜치를 만든다.
git branch -M main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간 업스트림 설정하고 업로드 한다.
-u 옵션은 업스트림을 설정한다.
업스트림이 설정되면 'git push' 나 'git pull' 명령시 브랜치명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부터는 git push만 하면 된다.
git push -u origin main
![](https://blog.kakaocdn.net/dn/q2PJs/btsIkiDw2iE/TwZ7NtQ4KZIw14kLreoGz0/img.png)
GitHub 원격저장소에서 main.js가 올라간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JPcuQ/btsIjKAwDII/w4RFYEIB495LRG9pf7ID6k/img.png)
반응형
'프로그래밍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checkout 으로 커밋 되돌리기 (0) | 2024.07.15 |
---|---|
[Git] git reset 으로 git add 취소하기 (언스테이징) (0) | 2024.07.07 |
[Git] git add & git commit 사용법 (스테이징&커밋) (0) | 2024.07.06 |
[Git] 원격저장소 복사하기 git clone (1) | 2024.07.04 |
[Git] 원격저장소에서 로컬저장소로 가져오기 (1) | 2024.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