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 git reset 으로 git add 취소하기 (언스테이징)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Git&GitHub

[Git] git reset 으로 git add 취소하기 (언스테이징)

git add 로 스테이징을 했다가 되돌려야(언스테이징) 하는 경우가 있다.되돌리는 방법은 git reset을 사용한다. git reset 은 언스테이징 외에도 사용되는 명령어임을 주의하자.여기서는 git reset으로 언스테이징을 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git reset : 모든 요소 언스테이징스테이징된 모든 요소들을 언스테이징 한다.git reset 예시test_0.js 와 test_1.js 파일 두개를 새로 생성하고 git add . 로 모두 스테이징 해준다.git status 로 상태를 확인하면 두 파일이 스테이징 된 것을 볼수 있다.git reset 으로 언스테이징 한다.git status 로 확인하면 모든 파일이 언스테이징 되어있다.git reset [요소] : 해당 요소를 언스테이징파일명이나..

2024.07.07 게시됨

[서적 구입] 개발자가 영어도 잘해야 하나요?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개발 일기

[서적 구입] 개발자가 영어도 잘해야 하나요?

서점에 아이쇼핑을 갔다 우연히 보게 된 책이다. 개발자가 영어를 잘해야 한다는 것은누누이 듣던 소리라 새롭지는 않다. 하지만  저자분이 미국으로 이주하여프리랜서로 개발자로 일하며 본인의 경험에 의거하여쓰여진 책이라는 점에서 읽으면 공부가 되는 책이다. 만약 외국계에서 근무하고 싶어영어를 공부한다면 추천한다. 개발용 영어 단어는 좋든 싫든 경력이 쌓이면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그러나 이제 막 시작한 저연차라면개발용 영어 단어가 생소 할텐데 이 책에는 개발자를 위한 용어 사전이라고뒤에 부록으로 있다.함수나 변수 네이밍에도 도움이 될만하다. 저자분의 조언중 가장 좋았던건영문 기술 블로그를 읽고 개발자 팟캐스트를 들으라는 것이다.api 문서도 한영 변환으로 보고 있는데 뜨끔하더라...읽으면서 많은 반성을 했다. ..

2024.07.06 게시됨

[Git] git add & git commit 사용법 (스테이징&커밋)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Git&GitHub

[Git] git add & git commit 사용법 (스테이징&커밋)

git add - 추가, 삭제 또는 수정된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리기git add 명령어는 수정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린다.쉽게 말하면 커밋할 대상들을 위치시켰다고 보면 된다. 주로 git add . 만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개별 파일이나 폴더만 스테이징 처리해야 할 경우도 있다.사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git add [파일명] : 해당 파일만 스테이징git add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 스테이징git add . : 수정된 모든 요소 스테이징 사용예시git add [파일명] : main.js 파일 하나만 스테이징git add main.js git add [디렉토리명] : src 폴더 스테이징git add src git add . : 변화가 있는 모든 요소 스테이징git ..

2024.07.06 게시됨

[Git] 원격저장소 복사하기 git clone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Git&GitHub

[Git] 원격저장소 복사하기 git clone

이전에 정리한 원격저장소를 로컬저장소로가져오는 방법은 절차가 많고 복잡하다.그런 과정을 쉽게 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는데 git clone 이다. git clone으로 원격저장소 복사하기git clone으로 원격저장소를 복사하게 되면 현 위치에 폴더를 생성하여로컬저장소를 만든다. clone 명령어만 실행하면 원격저장소의 네이밍으로 폴더가 생성된다.git clone https://주소 만약 로컬저장소의 이름을 지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된다.이렇게 하면 로컬저장소 폴더명이 myApp으로 생성된다.git clone https://주소 myApp업스트림 설정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의 주인이 같다면git clone으로 복제하면 업스트림도 자동으로 설정된다.그래서 따로 추가 설정은 필요없다.설정을 확인해..

2024.07.04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