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 두수 앞을 보고 개발 할 수는 없을까?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개발 일기

한 두수 앞을 보고 개발 할 수는 없을까?

기획 명세를 보다 보면 확장성이 고려돼야 하는 기능들이 보일 때가 있다. 추후 확장할지는 그때 가봐야 알겠지만 확장을 염두에 두고 기반 작업을 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확장 시 개발 비용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명세 상의 기능 구현에 5일이 필요하다면 확장성까지 고려시에는 1~3일 정도가 더 필요하다. 대신 다음 마일스톤에서 기능 확장이 필요한 경우 개발 일정은 1~2일 이거나 추가 개발이 필요 없을 수도 있다. 확장성이 고려되지 않은 기반에서 기능을 확장하면 개발 일정은 전자 보다 비용이 크게 나오거나 최악의 경우 새로 만드는 게 더 빠를 수도 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덜 고생할 수도 있는 것을 알고도 더 고생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진행하는 태스크의 명세에서도 이런 점이 보였다. 문제는 ..

2023.12.28 게시됨

슬라이딩 퍼즐 게임 만들기 #2/4 (타일 이동)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JavaScript 게임 개발

슬라이딩 퍼즐 게임 만들기 #2/4 (타일 이동)

비어 있는 타일 표시 마지막 타일은 비어 있는 타일이므로 모습을 보이지 않도록 처리 합니다. tile.js의 Tile 클래스에 setVisible() 함수를 추가 합니다. 해당 함수가 호출되면 타일의 숫자와, 사각형 그래픽을 감추도록 합니다. //tile.js setVisible(bVisible) { this.numberTxt.visible = bVisible; this.rect.visible = bVisible; } init() 함수의 this.emptyIndex값을 할당하는 코드 아래에서 setVisible() 함수를 호출합니다. // 생략 // 비어 있는 타일 this.emptyIndex = this.TOTAL_CELL - 1; this["tile_" + this.emptyIndex].setVisi..

2023.12.25 게시됨

팩토리 패턴 (Factory Pattern)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JavaScript 디자인 패턴

팩토리 패턴 (Factory Pattern)

객제 지향 언어에서 new 라는 키워드로 생성된 객체는 결합 관계가 강력한 코드이다. 이것을 의존성이라고 하는데, 팩토리 패턴은 이러한 의존성을 느슨하게 만들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연성을 올려주는 디자인 패턴이다. 팩토리 패턴 기본 개념 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을 담당하는 별도의 팩토리 클래스를 정의하고 이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생성한다. 즉, 클라이언트 코드에서 직접 new를 통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팩토리 클래스에 생성을 위임 하는 것이다. 팩토리 패턴 구현 캔버스 태그에 도형을 그려야 하는 코드를 프로그래밍 한다고 가정해 보자. 도형의 모양이 사각형이라면 사각형 클래스(Rect Class)로 생성을 하고 원형이라면 원형 클래스(Circle Class)로 생성을 해야 한다. 여기에 팩토리 패턴..

2023.12.23 게시됨

파이썬 클래스(Class)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프로그래밍/Python 기초

파이썬 클래스(Class)

"파이썬은 객체 지향 언어 (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입니다.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종의 설계도나 틀이 필요한데 이러한 데이터와 메서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클래스 입니다." 클래스 (Class) 객체의 특징을 담고 있는 설계도나 틀을 추상화 한 것을 클래스라고 합니다. 과일 사과를 예시로 든다면 사과가 객체이고 과일이 가지는 특징이 클래스 입니다. class Fruit: def __init__(self, fruitName): self.friutName = fruitName def bEat(self): # 먹을수 있다 return True def taste(self): # 맛있다. print("sweet") 객체 (Object) 객체는 클래스 기반으로 생성된 실체로..

2023.12.20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