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소.. package-lock.json
천둥상어
·2025. 3. 25. 21:49
개발을 마치면 불필요한 파일을 지우고 저장소에 보관을 한다.
나에게 불필요한 파일에는 package-lock.json 도 있었는데...
이 녀석은 노드 모듈 설치시 나오는 부산물로만 생각했다.
모듈의 의존성과 관련이 있다는건 알고 있었지만
그냥 다시 설치하면 되는 정도로 치부했다.
그렇게 시간이 가고.....
어느날 우리 팀원들이 SOS를 친다.
"팀장님~ 구동이 안되요.."
"팀장님~ 스파인이 튀어요..."
아니.. 몇달간 잘만 쓰던 엔진인데.. 왜??
상황을 보니....
A의 컴퓨터에서는 잘 구동이 되는데
B의 컴퓨터에서는 에러가 난다.
그렇다면 Node.js의 버전이나 NPM 버전이 가장 먼저 의심이 되지만...
격렬하게 나의 촉은 아니라고 부정한다. ('병신아 그거 아니야...")
순간 떠올랐다.
Ho.. Hoxy package-lock.json?
확인해 보니 같은 package.json 의 정보로 설치했지만 A와 B의 packge-lock.json이 달랐다.
그래서 package-lock.json 에 대해 구글링을 했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았다.
설치시 package.json 에 명시된 버전을 항상 동일하게 보장해 주지 않는다.
그래서 package-lock.json 파일이 부산물로 생성이 되고
이 파일이 설치시 동일한 환경으로 모듈의 의존성을 만들어준다.
고로 package-lock.json 은 함부로 지우면 되는 파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결국 두세달전에 생성되었던 package-lock.json이 필요하게 되었다.
문제는 소스 정리하면서 불필요한 파일로 취급해 로컬에서도 다 삭제했고...
저장소에도 제외 파일로 지정되어 백업이 되지 않았다.
강한 ㅈ 됨을 느끼고....
하지만 다행히 집 컴퓨터에는 남아있더라....
주말에도 집에서 일한게 이딴식으로 전화위복이 되는구나..
결론적으로...
package-lock.json 은 불필요한 파일이 아닌 완전소중한 설정 파일이었다.
이제부터라도 잘 챙겨야지.
'프로그래밍 > 개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푸념.... (0) | 2025.03.12 |
---|---|
PNG to base64 (0) | 2025.01.06 |
채용 담당자로서 서류 전형 불합격 처리하는 이유 (0) | 2024.10.09 |
Parcel & 플러그인 설치 (3) | 2024.09.20 |
[에러]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0) | 2024.09.11 |